Freemium 전략에 대한 고민
이 포스트는 "When Freemium Fails"월스트리트 저널의 내용을 읽으면서 아무 생각없이 Freemium 전략을 추구하기보다는 조금 더 생각의 깊이를 가지기 위해 정리해 봅니다. 최근 들어 새로운 비즈니스 영역에 고객을 유입하기 위해서 무료로 서비스와 제품을 제공해서 성공한 기업들(Dropbox와 LinkedIn , Skype 등)이 나타나 그...
View Article크리에이터가 되기 위한 레시피
- 아이디어는 무의식과 의식의 경계에서 올라오는 것. 자기만의 시간을 가지고 그 시간에 이것 저것 해(만들고, 메모하고 등)보라. 그것이 잉여력으로 돌아온다. - 연상을 해보자. . 언뜻과 관련이 없을 것 같은, 다른 분야에서의 질문, 문제, 아이디어를 연관/연상시키는 것은 혁신 DNA의 중심이다. - 질문 안에 솔루션이 있다. 계속 물음을 가지고...
View ArticleApache event_mpm vs Nginx 성능 비교
Aapache 2.4 정식 버전의 event_mpm이 어떤 성능을 발휘하며 성능을 최대치로 올리기 위한 튜닝 정보 및 Nginx와 설정 및 성능 비교를 통해 본 Apache의 현재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과거 Apache와 Nginx의 성능 비교 자료들을 보면 대부분 Nginx의 성능이 월등하게 나온다는 것을 안다. 하지만, 여기서는 두가지 비교를 통해...
View Article서브루틴(subroutine) vs 코루틴(co-routine)
서브루틴(subroutine) 폰노이만이 컴퓨터 아키텍처의 발명에 큰 영향을 준 것중에 하나가 서브루틴 개념의 발명이다. 그러다보니 그 지대한 영향력 때문인지 몰라도 사람들의 프로그래밍 스타일까지 파고들어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한다. 서브루틴은 부모와 자식의 주종 관계가 성립하고, 서브루틴의 호출은 부모에 의해서 호출된다. 결국 서브루틴은 처리 후 리턴에 의해...
View Article기계가 세상을 통제한다면..
우연히 검색을 하다가 "Algorithms Take Control of Wall Street"기사를 봤는데 내용이 재미 있어서 소개 및 제 생각을 몇자 적어본다. 내용은 월스트리트는 알고리즘에 의해 접수되었다. 정도... [Lexicon]은 구독자인 알고리즘이 이해하는 데이터를 전송한다. 즉, 로봇 프로그램(클라이언트)이 이해할 수 있는 방식으로 뉴스를...
View Article변수와 메소드 네이밍에 관한 15가지 모범 사례
코딩 스타일을 좋게 하는 방법 중에 하나가 네이밍을 일관되게 사용하는 것이다. 그래서 관련된 좋은 아티클, "15 Best Practices of Variable & Method Naming"에 대해서 소개한다. 간략하게 정리해 보면.. 1. 범위별로 충분히 짧게, 혹은 충분히 긴 변수 이름을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루프 카운터에는 하나의 문자로,...
View Article메모리 overcommit
Linux의 메모리 관리에서는 메모리 오버커밋이라는 메커니즘이 적용되어 있어 실제 메모리 이상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는 어떤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는가 하면 Linux 가상 메모리 시스템은 프로세스가 메모리를 확보할 때는 많게 보이게 하고 실제로 프로세스가 메모리에 접근을 하게되면 실제 메모리를 할당하는데 이때 실제 메모리가 부족하게 되면...
View ArticleSingleton, Lazy loading 그리고 WeakSingleton
최근에 푸시 솔루션(MQTT 기반)을 만들면서 데몬 프로그래밍을 하다가 Singleton 패턴을 적용한 부분이 있어, 이부분에 대한 정리가 필요할 것 같아서 몇자 정리해 봅니다. 싱글톤 패턴의 변천사로 봐도 무방하리라 생각됩니다.static inner class를 사용한 하나의 인스턴스만 생성하는 Singleton 이 경우 synchronized된...
View ArticleMQTT Packet 모니터링
Wireshark 준비 Wireshark은 패킷을 캡쳐해 주는 도구라는 것을 왠만한 개발자면 모두 알 것이다. 이 도구를 통해서 MQTT 3.1 스펙에 대해서 분석하는데, 도움을 받기 위해서 사용한 내용을 설명한다. Wireshark의 패킷 필터링을 통해 패킷을 보기 위해서는 먼저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로우 패킷을 보는 것은 정말 어려운 일이기에 헤더가...
View Article비즈니스 부트스트랩에 필요한 10가지 필수 리소스
본 포스트는 매셔블에서 작성한 "10 Essential Resources for Bootstrapping Businesses"아티클을 기초로해서 발번역한 내용입니다. 스타트업을 시작하시려는 분, 시작하고 계신분들에게 좋은 도움이 될 꺼 같아 일부를 번역해 보았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를 참고하세요. Mashable이 부트 스트랩 비지니스 시리즈에서 많은...
View ArticleDSL(Domain Specific Language) 이해하기
1. DSL이란 특정 도메인(산업, 분야등 특정 영역)에 특화된 언어를 말한다. "문제 영역의 해결에는 그 영역의 언어를 전제로 둬야하며, 거기에서 프로그래밍 솔루션을 꺼내는 것이 중요하다." 라고 Dave Thomas가 한 말을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특정 영역의 문제 해결에는 그 영역에 맞는 특화된 도구를 사용하자라는 것이다. 어찌보면 과도로 끝내도 될...
View ArticleLayProgrammer
자신을 프로그래머라고 생각하지 않더라도, 실제로 프로그래밍을 하는 사람들을, 나는 lay 프로그래머라고 부른다. 어떤 사람이건, 근무 시간의 대부분을 스프레드 시트와 함께 보내는 사람이 있다면, 그녀들이 하고 있는 것은 프로그래밍이다. 그리고 이것은 매우 고급 프로그래밍이다. 그러나 그녀는 프로그래머라고 불리우지 않으며, 또한 어떻게 하면 더 능숙하게...
View Articleveewee를 통해 glu(linkedin의 배포 및 모니터링 툴) 테스트 환경 자동화
veewee 도구를 활용해서 VM 이미지를 자동으로 만들어서 테스트 환경을 구축해 놓으면, 나중에도 동일한 환경 구성과 다른 개발자들도 쉽게 테스트 환경을 만들어 줄 수 있어서 시간 절약에 도움이 많이 된다. 그래서 보통 box 이미지는 Vagrantbox.es에서 여러가지 OS의 Box를 다운받아서 사용한다. 하지만, 그 안에는 원하는 형태의 소프트웨어가...
View Article"The Lean Startup" 책에서 트윗 가능한 23가지 명언들
본 글은 "23 Tweetable Insights From"포스트로, "The Lean Startup" 책에서 나오는 트윗하기 좋은 명언 23가지를 추출해 소개했습니다. 스타트업에 종사하는 분들에게 좋은 격언들인 것 같아 발번역 해 봅니다. 내용인즉, 1. 우리의 미래 번영은 우리가 가지고 있는 집단적 상상력의 질에 달려 있다. 2. 스타트업은 매우 불확실한...
View Article브라우저 동작의 이해 - 리플로우와 리페인트 및 그 최적화
개발자들도 브라우저의 영역을 어느정도 이해하는 것이 몸에 좋을 것 같아, Stoyan Stefanov 씨가 쓴 "Rendering : repaint, reflow/relayout, restyle"을 발번역 해 봅니다. 본 문서는 전반부에 reflow와 repaint에 대한 설명과 응답시간 향상을 위한 몇가지 팁으로 구성되어 있고, 후반부에는 dynaTrace...
View Article개발자들을 위한 Sandi Metz 룰(5가지)
Sandi Metz가 Ruby Rogues 팟 캐스트에서 소개한 루비 개발자들을 위한 룰에 대해 재밌는 내용을 소개한다. 참고로 객체 지향 개발자들에게도 응용해 보면 좋은 코딩 가이드가 되지 않을까 생각해 보게 된다. 주요 룰은 아래와 같다.클래스의 코드 라인은 100라인 이상이 되면 안된다.메소드는 5라인을 넘어설 수 없다.메소드의 인자는 4개보다 많으면...
View Article스타트업의 아이디어 얻는 방법
Paul Graham이 말하는 스타트업의 아이디어 얻는 방법을 요약 정리해 봤습니다. 원 출처는 "How to get start up ideas"입니다.1.현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타트업을 설립한다.이렇게 하기 위한 유일한 방법은 실제로 일을 수행할 때 그 때 고통을 느끼는 것이다. 생각을 멈춰라, 그러면 삶 속에서 어려움을 느낄 것이다.2.비효율적...
View ArticleUI/UX가 중요한 이유
기계는 무어의 법칙으로 진화하고 있어, 그래서 우린 더 쉬운 웹 페이지의 응답 속도에 집중하고 있지만, 그러나 보다 더 변화가 느린 인간의 관점에 주목을 하다보면 UI/UX가 왜 중요한지 조금이나마 알 수 있을것 같다. 인간은 이론상 초당 126bit의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고 하나, 실제는 10bit 정도 밖에 처리하지 않는다고 한다. 여기엔 지금까지의...
View Article예외에 대한 생각들
생각거리들예외는 코드에서 보이지 않기 때문에 예외가 던져질지, 안던져질지 모르는 상황에서 catch로 습관화해 자신의 좋은 코딩 의무를 회피하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개발자는 자신의 코드를 깊게, 면밀하게 코드를 탐독해서 예외 상황을 발생 시키지 않도록 잠재적인 버그를 줄일려는 노력을 해야하는데, 이런 두리뭉실한 예외를 catch하는 것으로 자신의 코드와...
View Article기업가를 위한 11가지 사업 철학
기업가들에게 좋은 교훈을 주는 내용을 소개 받고 간략하게 정리를 해 봅니다. "11 Business Philosophies to Live and Die By"라는 아티클인데 좋은 내용들이 많습니다. 아래는 주요 내용을 발번역해 보았습니다. 기업가로서 여러분은 일과 개인의 삶 모두에서 여러분 자신의 방식을 찾아야한다. 나도 지금 내가 알고 있는 것을 배울...
View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