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에서 인지 편향
프로그래밍을 하면서 인간은 수많은 생각과 판단을 마주하게 되는데, 그에 못지 않은 인지 편향이 개발자들로 하여금 최선의 결정을 방해해서 결국 버그를 만들게 하고, 생산성을 저해하며 자신감을 떨어끄리기도 하고 일정을 지연시키기도 합니다. 개발자들이 알아야두면 도움이 될 것 같아, "Cognitive Biases in Programming"에 대한 아티클을...
View ArticleCTO는 무슨 일을 하나?
CTO에 대해서는 좋은 아티클을 추천한다면 개인적으로 #define CTO와 함께 What does a CTO do?를 공유하곤 하는데, 그 중 후자가 더 CTO가 해야할 역할에 대해 잘 기술해 놓은 것 같아서 원저자의 하락하에 번역해 봅니다. What does a CTO do?아티클의 저자는 Cloudera의 Founder이자 CTO인 Amr...
View ArticleSpring에서 Field Injection보다 Constructor Injection이 권장되는 이유
이 주제는 좀 묵은 주제이기도 하지만, 주변을 둘러봐도 그렇지만, 일단 의존성 추가나 삭제가 간결하고 코드량도 많지 않고, 문제 발생한 경우도 없어서인지 Field Injection을 많이 사용하게 됩니다. 하지만 왜 Spring Team에서 Constructor Injection을 추천하는지 리마인드 차원에서 정리해 봅니다. Spring의...
View Article왜 철학을 공부하는가?
하버드 대학에서 철학을 공부해야하는 이유에 대해 명확하게 기술되어 있어서 간략하게 나마 번역해 보았습니다. 살아가는데 좋은 교훈이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원문은 "Why Study Philosophy?"입니다. 캘리포니아 대학 버클리 캠퍼스의 철학자인 존 캠벨은 철학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대한 내용입니다. -- “철학은 우리가 평소 굉장한 속도로 움직이고...
View Article왜 Vim은 방향키로 hjkl로 했을까?
UNIX 편집기로 Emacs과 쌍벽을 이루는 VI는 전설적인 개발자 빌 조이에 의해 만들어졌죠. 그런데, VI를 가장 많이 쓰는 키가 바로 이동키인데, 그것이 hjkl로 되어 있다는 것에 궁금한분들이 계실텐데, 아시는 분들도 많겠지만 모르는 분들을 위해 좀 정리를 해 둡니다. 당시 빌 조이가 몸담고 있던 버클리에 도입된 단말기가 "ADM-3A"란...
View Article역사속의 소스 코드들
옛 영광을 뒤로하고 사라져간 소스들을 찾아보았습니다. 아폴로 11호의 사령선(콜롬비아)과 달 착륙선(이글) 자동 제어 프로그램(1969년 아폴로 유도 컴퓨터의 소프트웨어 책임자는 마가렛 해밀턴, NASA의 인턴 Chrisl Garry가 이미 공개된 소스 코드를 디지털화하고 GitHub에서 공개한 것. 어셈블러.)Xerox, Alto 소스 코드(1975년부터...
View Article코딩 스타일에 대해 논쟁하는 이유
코딩 스타일은 개인적으로 따르게 하긴 쉬워도 스타일이란 의제를 가지고 합의해가는 과정은 정말로 어려운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왜 스타일이 필요한지, 의견 충돌을 왜 일어나는지, 어떻게 합의에 도달하는지 등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이 잘 정리되어 있는 글이 있어 원 저자의 허락하에 본 블로그에서 번역해 공유합니다. 원 글은 "Why We Argue: Style"이란...
View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