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왜 아직도 프로그래밍을 하고 있는가?
이 글은 컴퓨터 과학자 Daniel Lemire씨가 쓴 "Why I still program"이란 제목의 글을 번역한 내용입니다. 평생을 프로그래머라는 직업으로 살아가는 분들의 고귀한 존재 이유를 설득력 있게 쓴 글입니다. 보통 사람들은 나이를 먹으면 프로그래밍과 같은 실무적인 일에서 멀어지고 팀 관리나 자금 조달과 같은 좀 더 고급스런 일을 하는 것으로...
View ArticleJavaScript Promises
Javascript를 사용하다보면 비동기 call 요소들이 많아서 로직의 가독성과 오류 디버깅 문제등이 복잡하게 얽히게 되smsep, (이를 헬이라고도 표현하는데), 이를 회피하기 위한 방법중에 하나가 Promise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대부분 경우 라이브러리로 제공하고 있어, 그 내용을 잘 모르고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오용되는 사례를 경험하게 됩니다....
View Article왜 개발자들은 이전 개발자를 나쁜 사람으로 모는가?
"Why your previous developer was terrible"이라는 포스트가 갑자가 가슴에 확 달려드는 것 같아서 몇자 적어 봅니다. The curse of the present(현재의 저주)라는 표현이 참 와 닿는다. 기술적인 결정을 한 시점 즉, 그 당시에는 불투명했던 상황에서 내린 최선의 결정일 수도 있는데, 조직의 룰에 의해 결정되었을...
View Article사이드 프로젝트의 효용성 그리고 중요성
기업에서 개인 자신에 이르기까지 직원들이나 개인 스스로 자신의 잉여 시간을 잘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고민을 많이 하고 있습니다. 그 중에 하나로 사이드 프로젝트를 활용하는 사례가 많이 도출되고 있어 좀 정리를 해 봤습니다. 생각에 그치지 않고 그것을 실현해가는 습관을 길러주는 사이드 프로젝트, 개인에게 사이드 프로젝트 하나쯤은 지속적으로 유지하면 더 커진...
View Article왜 일이 예상대로 끝나지 않는가?
1. 시간을 낭비하고 있는건 아닌지. 시간이 있을 때 그때 그때 스스로 찾아서 완결해 가야 하는데, 마감이 임박하지(빠듯하지) 않으면 동기 부여가 안된다. 초반에 느슨하게 하다가 막판에 불지르다가 일정과 품질에 악영향을 준다. 2. 인터럽트 되는 일을 우선시 한건 아닌지. 일을 하게 되면 항상 생기게 마련이 일의 집중도를 떨어뜨리는 인터럽트이다. 이것 때문에...
View ArticleREADME가 대문자인 이유
README 파일은 해당 디렉토리나 아카입의 소프트웨어에 대한 정보를 기술하는 파일이다. 그런데 왜 대문자로 구성되어 있는지 확인해 보니... 위키에 그 사례가 실려져 있었다. It is traditionally written in upper case so that on case-preserving environments using an...
View Article권위와 가치
Square의 CEO인 Jack Dorsey가 재미난 글을 올렸네요. 회사생활을 하면서 우리도 이런 비슷한 유혹을 많이 받게 되죠? 아래는 Jack Dorsey가 Medium에 올린 글입니다. 회사 생활을 하다보면 사람들이 아이디어를 제시할 때 권위있는 사람들을 이름을 빌려서(혹은 유명한 포스트나 뉴스 기사 등도 포함) 자신의 아이디어에 설득력을...
View Article관점의 변화
문제 해결형 (problem solving) ⇒ 문제 제기형 (problem finding)프로세스로서의 디자인 (design as process) ⇒ 중재 (수단)으로 디자인 (design as medium)답을 제공 (provides answers) ⇒ 의문을 제기 (ask questions)산업에 대한 봉사 (in the service of...
View Article그냥 '왜'라고 묻는 것이 항상 최선의 전략은 아니다
좋은 제품을 만드는데 있어서 본질을 파고드는 데 좋은 사례가 바로 '왜?'라는 질문을 자신과 이해당사자들과의 토론에서 끊임없이 하는 것이다. 하지만 건성의 '왜'로 핵심을 파지않고 그저 내용의 이해만을 도울 수 있는 왜는 지양해야 된다는 좋은 아티클 'ASKING WHY IS NOT ALWAYS THE BEST STRATEGY'이 있어 내용을 요약해 봅니다....
View Article개발자와 나이
"It’s official : developers get better with age. And scarcer."이라는 아티클이 레딧에서 다시 회자되고 있어 소개합니다. 아티클의 내용은, StackOverflow에서 개발자들의 Q&A 데이터를 분석 한 것으로, 개발자수는 27세를 정점으로 그 후 6,7년마다 절반으로 그 수가 줄어들지만, 높은 평가를...
View Article나는 왜 Node의 세계에 남아 있는가?
레딧에 화자되고 있는 "Farewell Node.js(잘가 Nodejs)"와 이상욱님의 블로그에에서 번역한 글을 읽다가 Why I’m staying with Node(나는 왜 Node의 세계에 남아 있는가?)"라는 아티클이 눈에 뜨여 반대와 찬성의 글을 같이 곱씹어보면 좋을 것 같아서 Nodejs 옹호론자의 아티클을 번역해 봅니다. 무엇보다 먼저, Go...
View ArticleVim에 대해 점진적으로 학습하기
본 포스트는 "Learn Vim Progressively"라는 아티클을 번역한 것으로 Vim에 대해서 모르시는 분들이나 되새김질을 하고 싶은 분들에게 좋은 글이 될 거 같아 정리해 보았습니다. TL;DR: 여러분은 vim(인류 역사상 가장 많이 알려져 있는 텍스트 에디터)을 가능한 한 빨리 습득하고 싶을 것이다. 그래서 여기에 그렇게 될 수 있는 방법을...
View ArticleAngularJS 사용하면서 정리한 것들
작년부터 AngularJS 도입해 사용하면서 도움이 될만한게 뭐있나 고민하다가 초기에 알아두면 좋을법한 내용을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MVW에 대한 고민하면서 코딩을 했는지, 내가 AngularJS를 문제없게 코딩했는지 등에 대한 불안을 어느정도 회피해 줄 수 있는 생각들을 공유합니다.AngularJS 기반 MVW 이해하기 MV* 패턴 적용의 목적은...
View Article빌드시스템 Pants에 대해
Foursquare/Twitter/Square에서 사용중인 증분 빌드 시스템인 Pants(오픈소스)에 대해서 정리했습니다. 참고 사이트는 트위터 블로그에 쓰여진 "Hello Pants build"를 참고하였습니다. 큰 프로젝트의 경우 codebases가 커짐으로인해 그에 수반되는 개발 작업의 어려움도 증가하게 된다. 빌드도 느려지고, 또한 현재 존재하는...
View ArticleJavascript에서 함수형 프로그래밍 맛보기
함수형 프로그래밍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한 아티클(Don’t Be Scared Of Functional Programming)이 있어서 소개합니다. 정리하면서 느낀점은, 일차적으로 함수형 프로그래밍을 이해하는 것이겠지만, 이차적으로는 코드의 간결성이 좋아지고 리팩토링에서 좋은 사례로 활용할 수 있을 것 같아 좋았습니다. ^^함수 프로그래밍의 기본 특성 여기서...
View Article위임에 관한 70%룰
완벽한 일 마무리와 과로 사이의 균형을 판별하는 공식이 있다네요. 그것이 바로 70%룰이랍니다. 보통 일을 제대로 끝낼려면 다른 사람에게 일을 맡기기보다 자신 스스로가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을겁니다. 하지만, 70%룰을 통해 자신의 일을 다른 사람이 해서 70% 정도의 품질만 보장되면 그 사람에게 맡기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네요. 모든 일을 혼자 다...
View Article리팩토링이나 코드 리뷰에 사용할 체크리스트
리팩토링이나 코드 리뷰에 사용할 체크리스트로 사용해도 좋을법한 약어들을 공개합니다. 아직 부족하지만 같이 채워나가요. ^^DC(Duplicate Code) - 중복된 코드(중복된 코드나 조건들).BPC(Bad Performance Code) - 성능에 좋지 않는 코드.BN(Bad Name) - 변수나 클래스, 함수 등에 너무 길거나 가독성 떨어지고 일관되지...
View Article박사란?
그림으로 보는 박사 이야기"인데, 곰곰히 보면 우리에게 주는 교훈은 큰거 같습니다. 가끔 보면서 자신의 위치를 살펴보는 것도 괜찮을 것 같네요. 인류의 모든 지식을 담았다고 생각하는 원을 상상해 보자. 초등학교를 졸업하면 약간의 지식을 얻는다. 고등학교를 졸업할 무렵에는 조금 더 지식을 습득한다. 대학의 학사 학위를 취득하면 전공 분야에서 전문성을 얻을 수...
View ArticleAngularjs 1.2에서 1.3 업그레이드
본 포스트는 Angularjs 1.2에서 1.3으로 업그레이드를 하실분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Migrating from 1.2 to 1.3"문서를 정리한 것입니다. 아직 1.3에 추가적인 버그가 나와서 패치가 되고 있지만 성능부분이 더 좋아졌다고 하니 1.3이 안정화되면 업그레이드 하시길 권고해 드립니다. ^^ 1.3 특징1. 성능 - DOM 조작이나...
View Article조직력의 발전방향은?
우리는 회의에서 논의를 통해 의견을 나눌수록 극단을 지양하고 합리적 중용의 결과를 찾으려는 것이 목표일 것이다. 하지만, 특히 한국에서 회의 구성원들의 지위가, 유명세가 발언의 양, 방향을 암묵적으로 지휘하는 경우가 많다. 지위에 의해 의식이 서열화 되고 발언양이 많아짐으로 논의의 목적이 합리적인 중용을 표방하는데, 이를 무시하고 지위자의 발언 방향으로...
View Article